Cloud Outbound Mailer

https://api.ncloud-docs.com/docs/ai-application-service-cloudoutboundmailer

결론:

  • 공식 명칭 → Cloud Outbound Mailer
  • “Naver Cloud Mailer” → 그냥 Cloud Outbound Mailer를 편의상 부르는 용어입니다.

1. 용어 차이 요약

구분Naver Cloud MailerCloud Outbound Mailer
공식 서비스명❌ 비공식/통칭공식 서비스명
위치일반적으로 개발자 커뮤니티, 블로그, 샘플 코드 등에서 사용Naver Cloud Console 및 공식 문서에서 사용
주요 기능대량 메일 발송, SMTP/REST API, 예약 발송, 통계동일 (기능 차이 없음)
API 명칭예전 샘플 코드에서 NaverCloudMailer 네이밍으로 쓰이는 경우 많음공식 명칭은 Cloud Outbound Mailer API
정책 문서별도 존재하지 않음Naver Cloud 공식 정책 제공
지원 형태주로 내부 개발자들이 편의상 부르는 이름공식 서비스명으로 Naver Cloud Console 및 가이드 문서에서 사용

2. 왜 두 가지 용어가 생겼나

① 예전 네이밍

  • 2021년 이전, Naver Cloud 개발자 포럼이나 예제 코드에서
    메일 발송 API를 사용할 때 NaverCloudMailer 같은 이름을 많이 사용했습니다.
  • 특히 C#, Java, PHP 샘플 코드에서 NaverCloudMailer 네이밍을 사용했기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익숙하게 굳어졌습니다.

② 현재 공식 명칭 통일

  • 2022년 이후 Naver Cloud Docs가 개편되면서
    공식적으로 **”Cloud Outbound Mailer”**라는 서비스명으로 통일되었습니다.
  • 콘솔, API, 정책 문서, 로그 등 모든 공식 문서에서 이 명칭만 사용됩니다.

3. 개발자 관점에서의 차이

(1) API 엔드포인트

  • NaverCloudMailer API는 이전에 사용되던 엔드포인트들이 존재하며, 이후에 모두 Cloud Outbound Mailer API로 통일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개발자들은 해당 API를 사용할 때 공식 문서에 명시된 엔드포인트를 따라야 합니다.
  • 새로운 엔드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2) 인증 방법

  • NaverCloudMailer를 사용할 때는 주로 API 키를 통한 인증을 요구했으며, 이 방식은 현재도 Cloud Outbound Mailer API에서 유지됩니다.
  • 그러나 새로운 제공 방법인 OAuth 2.0 인증 방식이 도입되어 보안이 한층 강화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인증 과정이 더 안전해졌습니다.

(3) 통계 및 리포트

  • 이전의 NaverCloudMailer 사용 시에는 제한된 통계 정보만 제공되었지만, Cloud Outbound Mailer API를 통해 보다 상세한 발송 통계 및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는 발송된 메일의 상태, 열람률, 클릭률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4. 결론

Naver Cloud Mailer와 Cloud Outbound Mailer의 명칭 차이는 혼란을 초래할 수 있으나, 실제 서비스와 기능은 동일합니다. 공식 서비스명을 사용하는 것이 개발자들에게 더 많은 이점을 제공하며, 정확한 문서화는 향후 개발 환경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최신 문서와 명칭을 반영하여 개발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Naver Cloud 공식 문서(Cloud Outbound Mailer API 가이드)**에서는 **보내는 주소(From)**와 **받는 주소(To)**가 동일할 때 발생하는 HTTP 400 오류 여부와 관련된 내용을 직접적으로 명시한 조항은 찾을 수 없습니다.


확인된 공식 정보

  • Cloud Outbound Mailer 개요 및 기능: bulk 발송, 템플릿, 통계, 발신 도메인 관리 등 주요 기능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Ncloud Docs Guide.
  • API 예시: senderAddress, recipients 등의 요청 구조 안내는 있으나, 에러 처리에 관한 명시적 규정은 없습니다 Ncloud Docs Guide.
  • 발송 실패 시 시스템 내 결과 코드 유형: 예컨대 RECIPIENT_ADDRESS_ERROR, SECURITY_AND_POLICY_ERROR, UNKNOWN_CAUSE_FAIL 등 다양한 실패 유형이 제공되지만,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할 때 400 오류로 명시된 항목은 없습니다 Ncloud Docs Guide+1.

요약 테이블

항목확인된 여부
공식 문서에서 “From = To일 때 400 오류” 명시없음
에러 코드 설명에 해당 경우 포함없음
정책 문서나 FAQ 등 다른 문서에서 언급없음

이유 및 조언

Naver Cloud 콘솔의 발송 이력 페이지에서 실패 원인을 확인하면 더 직접적인 힌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정책에서 직접 차단하는지 불명확: 현재까지는 API 요청이 형식적으로만 유효하다면 (JSON 구성, 인증 등), API는 이를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다만 내부 시스템 로직에서 추가로 체크하는지는 공식 문서에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실제 사례 기반 검증 필요:

Postman 또는 cURL로 동일한 발신·수신 주소를 사용해 API 호출 후 반환되는 HTTP 응답 바디 또는 메시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가장 명확합니다.

공지

https://www.gov-ncloud.com/support/notice/all/530?utm_source=chatgpt.com

공지사항


Cloud Outbound Mailer – 메일발송 인증 강화 정책 실행 안내
등록일: 2025년 6월 2일 |마지막 업데이트일: 2025년 6월 2일

안녕하세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공공기관용]입니다.

Cloud Outbound Mailer를 이용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근 스팸 메일 증가 등에 따라 메일 수신 서버에서의 스팸 차단을 위한 조치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발송되는 메일 중 일부의 수신이 거부되는 상황이 발생되고 있습니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국내외로 발송되는 메일에 대한 인증기준 강화를 지속적으로 적용해 나갈 예정입니다.

위와 같은 조치의 일환으로 수신자 목록이 가장 많은 네이버 메일로 발송되는 메일에 대하여 9월 4일부터 SPF 및 DKIM 인증이 완료된 도메인만 가능하도록 조치하게 되었음을 안내드립니다.

아래 안내 내용 및 주의 사항을 확인하셔서 서비스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변경 사항

  • 수신자 주소가 네이버 메일(@naver.com)인 경우, 아래 필수 조건에 부합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발송 가능하도록 정책 적용
    • SPF(Sender Policy Framework) 및 DKIM(DomainKeys Identified Mail) 인증 및 사용 설정 필수
    • DMARC(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and Conformance) 인증 설정 필수

※ 서비스 영향도

  • SPF 및 DKIM, DMARC 미인증 시 네이버 메일로의 메일 발송 차단

※ 대처 방안

  • 발송 도메인에 대한 SPF, DKIM, DMARC 인증 진행

※ 적용 일시

  • 2025년 9월 4일(목) 18:00 이후 (GMT + 09:00)

관련 문의는 ‘고객지원 문의하기’ 또는 1833-5055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더욱 편리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